귀에 따갑도록 들리는 이말..자기 계발서에 단골 메뉴.. 진짜 인생을 찾아라.

하지만 여러분은 이 말을 듣고 단 한번이라고 실행에 옮겨 보신적은 있으신지요?

여러분 각자의 삶의 리더로써 어떤 모습을 원하시는지요?

일,나,가족,사회의 이 네 가지 영역에서 모두 성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연습이 필요할까요?

 

토탈 리더쉽은...

진짜 내 모습에 맞게 살기

온전하게 살기

창의적으로 살기를 연습하는 과정이며 이 세가지를 위한 혁신일 것입니다.

 

그럼 8개의 강의를 통해 여러분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4발 경제학) 12 24 : 2014loser의 역습

 

1. 한국경제 : 올해 한국 주가 상승률 OECD 최하위권 1 일본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22407286

 

Opinion : 탈 동조화..

 

2. 한국경제 : 2014loser들은 반란을 꿈꾼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22396841

 

Opinion : 일본 부동산, 남유럽 그리고 한국의 내수주.

 

3. 블럼버그MSCI All-Country World Index

 

http://www.bloomberg.com/news/2013-12-22/australian-shares-rise-with-futures-as-imf-lifts-outlook.html

 

Opinion : 6년이래 최고치 상승..0.6 퍼센트..

 

4. 블럼버그 : 2014년에는 유럽을 주목하자..

 

 http://www.bloomberg.com/news/2013-12-23/bull-calls-united-in-europe-as-strategists-see-12-gain-in-2014.html

 

Opinion : 유럽 지수의 상승을 한 번 지켜볼까요..stoxx europe 600 index.

 

5. 부자아빠주식학교 :

[초보]보조지표 활용하기 1 – MACD, 삼선전환도, Stochastic Fast&Slow

http://cafe.daum.net/stockpapa/EKlv/9

 

ETF 국가편 : iShareS MCSI U.K Index 

 

종목명 :  iShareS MCSI Taiwan Index

심볼명 : EWT

EWU MSCI 영국 지수의 일중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지수는 영국의 전체 시가총액의 85퍼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금융, 에너지,소비재 원자재 관련

기업 등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ㄷ.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HSBC, 보다폰, BP, 로얄 더치 , 글락소스미스클라인등이 있다.

(4발 경제학) 12 23 테이퍼링 시대 환율의 이중성

 

1. 한국경제 : 수출.내수 마리 토끼를 잡아라.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2201667g

 

Opinion : 적절한 물가상승이 이루어져야 한다.

 

2. 한국경제 : 테이퍼링 시대환율은?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122265161

 

Opinion : 달러이외의 이종통화의 환율을 주목하자.

 

3. 블럼버그내년에는 좀 더 확실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http://www.bloomberg.com/news/2013-12-22/u-s-economy-s-growth-prospects-brighten-for-2014-lagarde-says.html

 

Opinion : 미국경제의 성장과 테이퍼링의 확대.

 

4. 블럼버그 : 아베 노믹스.. 2014 4월부터 시작되는 정부 예산안 발표일본판 양적완화..

 

  http://www.bloomberg.com/news/2013-12-21/japan-unveils-record-budget-even-as-abe-trims-new-bond-sales.html 

 

Opinion : 일본 경제의 회생이 가시화 되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