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계수는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소득 불평등 측정지표이다.

수치는 0 1사이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완전한 평등(모두가 정확히 동일한 소득을 가짐), 그리고 1 수치는 완전한

불평등과 일치한다. (한사람이 전부의 소득을, 나머지 사람은 0 소득을 가짐)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2009년을 기점으로 분배계수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그리고 2008 금융위기 발생시 분배계수는 급격히 증가하는데 소득의 불평등은

경제위기시 점점 심화된다는 것을 있다.




 

OECD 국가의 지니계수를 살펴보면 한국은 OECD 평균과 비슷하지만 영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은 오히려 소득 불균형이 한국보다 심하다.

이러한 현상 또한 경제위기와 일목상통한 면이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소득 5분위별 소득점유율과 경계값에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면.(어찌 보면 로렌츠 곡선과 유사한 데이터)

 

금융위기가 발생한2008년을 기점으로 상위 소득층의 소득점유율은 증가하다가

이후는 하위 소득층의 소득점유률이 증가하고 있다.

 

GDI (국내총소득)..GNI(국민총소득)

 

실질 GDI는 국내 가계, 기업, 정부 등이 벌어들인 총 소득인데

GDP 에다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하여 구한다(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무역손실)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076

 

 

GNI GNP 에 무역손익을 더한 것이다(GNI = GNP + 무역손실)

쉽게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에서 번 돈을 더해주고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번 돈은 뺀

다음 무역손익을 반영한 것이다. 국민소득을 이야기 할때는 GNI를 주로 사용하는데 우리 국민이 번 돈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수입은 싸게하고 수출은 비싸게 하면 GNI는 증가하는 것이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9/05/2013090504409.html

 

1. Business Inventories (기업재고)

 

출처 : 미 인구조사국

웹주소 : www.census.gov/mtis/www/mtis.html

발표일 : 대개 매월 중순경

발표시간 : 동부표준시(EST) 오전 8 30

대상범위 : 보고자료를 발표하기 2개월 전 당시 소매업, 도매업, 제조업의 재고수준

 

이 지표는 수요에 비해 재고의 수준이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

 

핵심 구성요소 전체 기업재고는 소매업, 도매업 그리고 제조업의 선적,재고,주문등

각기 다른 세 부문에 대한 별도의 월간 조사를 통해 관련자료 수집하고 있는데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재고율(Inventory-to-sales ratio)에 관한 자료이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민감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첫째는 이미 시장에서는 사전지식을 보유하고 있고 둘째는 기업 재고 수준의 변화는

매우 의미있는 지표이지만 그러한 변화는 미리 포착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셋째는 다른

지표보다는 시의 적절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

 

개인적 관점에서는 향후 경제의 전환점의 포착과 소매업 재고수준의 상승과 하락을 통해 현명한 구매자가 될 수 있게 도와준다.




한국은 성장하고 있는가?

 

잠재성장률은 노동,자본,기술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하여 물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있는 최대의 성장률..

 

1. 경제 성장률 < 잠재성장률

2. 경제 성장률 = 잠재성장률

3. 경제 성장률 > 잠재성장률

 

1,2,3 케이스를 비교해보면 현재 경제상황에 대한 거지적인 데이터가 나올 있다.

간단히 1번은 경기 악화, 2번은 변이점, 3번은 경기과열..





위의 그림에서 분홍색 꺽은선은 실질경제 성장률이고 검은색 선은 기관에서 추정한 잠재성장률 수치이다.

2001년부터 2003 상반기까지는 실질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앞서고 있다. 아마 경기활황의 시기라 있다. 2008년을 주목하라 잠재성장률과 실질 경제성장률의 역전현상이 심각하다.

그리고 2013 바닥을 지나 현재는 경기는 회복추세에 접어들고 있다.

2014 과연 실질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넘어설수 있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