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통화승수..

경제활력소를 찾아라..

특정 국가에서 돈이 얼마나 잘 도는가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경제활력지표로 통화승수를

꼽는다. 통화승수는 돈의 총량을 의미하는 통화량을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 통화로 나눈

수치이다.

돈의 경맥경화가 심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차 심해지고 가계는 지갑을 닫고 기업은 투자를 꺼리는 성향이 지속된다는 것이다.

​(현재 대한 민국 기업의 유보금이 사상최대)

유럽,일본 그리고 미국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좀 더 적극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할때가 아닐까 합니다.




국제원유가 3 유종

 

1.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미국 서부 텍사스와 오클라호마 지역에서 생산되는데 흔히 WTI 라고 한다.

   WTI 미국 내에서만 거래되고 국제시장으로는 반출되지 않지만 거래량이

   많아 뉴욕상업거래소(NYMEX) 상장되어 있다.

   국제 유가를 이끄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2. 북해산 브랜트유

   영국 북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이며 유럽에서는 대부분 북해산 브렌트유

   사용한다.

3. 두바이유

   중동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오만유와 함께 아시

   지역의 대표적인 유종이며 우리나라 수입원유가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제 유가는 1973 1 오일쇼크 이전까지 20달러선 아래에 있었다.

(2008 달러 가치 기준).


이후 40년간 여러 차례 등락이 있었지만 대략 50 ~60 달러 수준을 유지하였다.

40년간 20달러에서 50달러로 2.5 오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있다.


그리고 동안 미국의 인플레이션 인덱스는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44

(1973 기준) 에서 232(2013 기준) 되었으니 5.27배가 되었다.

아래의 데이터만 보더라도 원유가는 나름 착한 가격이었다.






25년간 WTI 가격이다..




1973년 20달러는 현재 107달러이다..


현재는 100달러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니 인플레이션과 비교하면 적정가격이 아닐까 한다.( 1973 20달러 곱하기 인플레이션 인덱스 5.27 = 105.4 달러)


1. 국제수지의 분류..




2. 경상수지


상품수지 : 상품수출과 수입의 차이로서 소유권이전 기준으로 작성되며 가격조건은 수출입

             두 FOB 평가- 일반상품, 가공용재화, 비화폐용금수지로 세분.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의 수출중심 국가여서 상품수지는 거의 매해 흑

             자이지만 만약 이게 적자가 되면 나라 경제가 크게 흔들린다.

 

서비스수지 : 서비스수출과 수입의 차이로서 운수, 여행, 통신서비스, 보험서비스, 특허권등

                사용료, 사업서비스, 정부서비스 기타수지로 세분.

      해외여행비나 해외유학비 등은 서비스수지에 속한다.해외 여행비나 해

                외유학비 등은 서비스 수지 적자, 외국인의 한국 관광비나

      대한항공 이용료 등은 서비스 수지 흑자 요인이 된다.하지만 우리나

                라의 서비스 수지는 적자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소득수지 : 비거주자 노동자에게 지급되는 급료 임금, 대외금융자산 부채와 관련된

             자소득이 포함 본원소득 중 급료 및 임금수지(노동소득)는 우리나라 사

             람들이 해외에 나가 일을 해 받은 임금과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나라

             에서 일을 해 받은 임금의 차액이다. 금융소득소지는 대외금융자산,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등 투자소득의 수입과 지출의 차액이다.외국인

             이 삼성전자에 투자해 받은 배당금, 국내은행이 해외 채권에 투자하고

           받은 이자가 이에 해당된다.

     여기서 한가지 유의할 점은 투자 금액 자체는 자본수지로 잡히고 경상

             수지의 본원소득수지는 투자로 인한 이자와 배당금 등만이 들어간다.

 

경상이전수지 : 개인송금, 국제기구 출연금 구호를 위한 식량, 의약품 등의 무상원조가

                  함/.

       대가가 없는 국제간에 이전된 수치이다. 정부의 무상원조, 종교단

                  체나 자선단체의 기부금과 구호물자, 유학간 자녀에게 송금한 등록

                  금등이 이에 속한다.

 

* 경상지수와 주가..주가와 환율..

경상수지가 증가한다는 것은 경제가 좋아진다는 의미이다.

그럼 경상지수와 주가의 상관관계는 어떠할까? 1990년대 중반부터 1997년 IMF까지 경상수지는 마이너스이고 주가지수도 바닥권이었다.수출이 안되다보니 달러가 부

족하여 환율은 급등하였다.

2008년도에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있었는데. 이를 토대로 생각하면 경상지수와 주가지수는 양의 상관관계.

주가와 환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포르투갈 최대 은행의 회계 부정 사건으로 포르투갈 금융 시스템 휘청..

하지만 2012년 만큼 충격적이지는 않다고 블럼버그 통신에서 이야기 합니다.

그럼 잠시 포르투갈 10년물 국채의 rate를 살펴볼까요?





보시다시피 2012년 유로위기 이후 점점 감소세에 있던 10년물 국채 rate가 이번 사건을 빌미로 약간 올라갔죠.

아직은 4% 미만입니다.




+ Recent posts